오랜만에 메모리를 지우개로 고친뒤 Ubuntu를 접속했다.
밀려있던 Update를 실행하는데 이전부터 간간히 보이던 gir1.2-xxx가 눈에 자꾸 보인다.
궁금한데 찾아볼까 하다가 10분 가까이 소비했다.
분명히 쉽게 설명되어있는 곳이 있을텐데...
명명 초반엔 많이 알려야하니 친절하게 설명해 주는곳도 많이 있었겠지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초보자는 그게 무엇인지 알려면 그들의 발자취를 따라 먼 과거로 힘겹게 여행을 해야하니...
어쨌든 찾아냈다. 좀 엉뚱한 곳이었지만 뜻을 알기 위해서는 아무 곳이나 상관없다.
GObject Introspection Repository : GObject 내부검사(내성) 저장소
라고 번역된다나? 구글번역기가 번역해서 무슨소린지 모르겠다.
어쨌든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GIR file is an XML file that describes the objects, structures, constants, enumerations and functions of a library's public interface.
GIR파일은 라이브러리 공용 인터페이스의 객체, 구조, 상수, 열거자 및 기능을 설명하는 XML파일입니다.
한마디로 GObject내부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자료형태라는 것이다. 자체적인 XML형태를 만들고 그것을 규격화했다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다.
GObject가 뭐냐하면... 그냥 GNOME에서 사용하려고 만들어놓은 'C에서 이용가능한 객체'라고 얼버므리면 될 것 같다.
자세한건 'GObject 란'을 검색하면 쉽게 설명한 내용과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소스코드까지 찾아 볼 수 있다.
출처 : https://wiki.gnome.org/Projects/Vala/Bindings
Projects/Vala/Bindings - GNOME Wiki!
Generating a VAPI with GObject Introspection Introduction Vala is designed to use existing libraries that have a C ABI (Application Binary Interface) without the need for runtime bindings. A Vala program requires a Vala API file (.vapi) at compile-time for
wiki.gnome.org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fs3: Unknown parameter 'windows_names' (0) | 2022.11.13 |
---|---|
Ubuntu Desktop 18.04.05 Network 문서 (0) | 2021.09.14 |
반복키가 안될 때 (0) | 2018.02.13 |
Ubuntu 8.04 LTS에서 다시 Xorg로 회기하나? (0) | 2018.01.31 |
Ubuntu 14.04 systray 이용하기 (0) | 201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