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서버 실행
git에 대한 설치가 되어있다고 가정하에 설명.(자세한 설명은 google에서 확인)
1. 기본적으로 git을 데몬형태로 실행시키고 접근하는 방법은 9418 tcp 포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sudo git daemon --reuseaddr --user=git --group=git --base-path=/home/git /home/git & |
/usr/bin/git daemon --base-path=/home/git /home/git & |
git://URL:Repogitory |
형식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다.
2. ssh를 이용한 접근방식
개인 또는 소규모 형식일 때 많이 사용.
useradd (or adduser)를 이용하여 git 유저를 만들고 git 유저의 $HOME에 project를 만들어서 관리하는 형식
ssh를 이용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접근방식이 싶지만 비밀번호를 공유해야함.
(접근 유저를 따로 관리하는 방법도 있다고는 하는데 이 부분은 알아서 활용해 볼 것.)
접근방식은 URL에
git@URL:Repogitory |
라고 써주면 된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항값 보기 (0) | 2019.09.20 |
---|---|
XPlanet의 추억 (1) | 2019.04.06 |
MicroSD 쓰기 방지에 대하여 (0) | 2018.02.23 |
MS-Windows 10 USB 키보드 마우스 먹통 (2) | 2018.02.22 |
Raspberry PI와 Arduino Serial 통신 (0) | 2018.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