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Windows와 VirtualBox의 Blue Screen 문제
MS-Windows Update 이후 VirtualBox(64Bits) BlueScreen 문제
얼마전 MS-Windows의 대대적인 Update 이후 잘 사용하던 VirtualBox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증상은 이전에 설치해 놨던 64비트 이미지들을 실행시키면 BlueScreen이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설치된 이미지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려 새로 설치를 선택하자 64Bits를 선택하는 부분이 없어지고 32Bits만 선택하도록 되어졌다.
VirtualBox도 얼마전 Update를 했기에 어떤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인지 확신이 들지 않았었는데 검색을 통해서 몇 가지를 확인 점검했고 최종적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1. BIOS에서의 지원
- 시스템이 오래되어서 가상화 부분에 대한 설정부분이 없었다. 또한 AMD CPU여서
정보도 부족했다. 그러다가 어느 사이트에서 'CPU에서 가상화를 지원하면 BIOS에
지원 메뉴가 없어도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본다.' 라는 취지의 글을 확인했
다. 이전에 64Bits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기초로 현재 BIOS에 가상화 부분이 없어도
지원 가능하다는 것을 전재로 했다.
2. 시스템에서의 지원
- 멀티부팅이 가능해서 Ubuntu로 부팅한 후 'cat /proc/cpuinfo'로 확인결과 flags의
항목중 svm(INTEL vmx)가 있는 것을 확인. 이것은 CPU가 가상화를 지원한다는 것
을 나타내며 MS-Windows에서 설정을 바꿔주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3. MS-Windows 설정 변경
-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실행시키고 다음 명령으로 옵션을 확인한다.
C:\> bcdedit /enum {current}
...
hypervisorlaunchtype auto
...
hypervisorlaunchtype이 auto로 되어있으면 Hyper-V를 사용한다는 뜻이고 이것은
다른 VM 들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기능을 다음 명령으로 끈다.
C:\> bcdedit /set hypervisorlaunchtype off
다음 컴퓨터를 리붓 시키면 VirtualBox에서 사라졌던 가상화 문구들을 볼 수 있고
64Bits OS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전에 설치했던 OS들도 실행이 가능하다.
결론 :
최근 MS-Windows가 Update하면서 가상화 부분을 건드렸고 이것 때문에 VirtualBox나 VMWare의 64Bits로 설치된 OS들 실행시 BlueScreen이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MS-Windows의 hypervisorlaunchtype을 off로 만들면 문제는 해결된다. 만일 Hyper-V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위 옵션을 auto로 바꾸고 리붓시키면 된다.